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환경교육사 제도운영

환경교육사란?

「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(구 환경교육진흥법, ‘22.1.6. 전부개정)」 제16조에 근거하여 양성된 사람으로서 환경교육프로그램 의 기획·진행·분석·평가 및 환경교육을 수행하는 자를 말합니다.

환경교육사의 주요 역할과 자격 수준

주요 역할 환경교육사 자격 수준
환경교육프로그램의 수행·운영(교육자) 1-3급
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기획·개발(기획·개발자) 1-2급
환경교육의 경영 관리(경영·관리자) 1급

자격취득 절차

  • 이력 등록

   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회원 가입

    환경교육사 자격평가 누리집(keep.go.kr/license) 이동 후 이력등록

  • 교육 신청

    희망 양성과정 교육신청

  • 출석 및 평가

    교육과정별 출석률 80% 이상(다만 온라인식 100% 출석)

    필기평가 : 과목점수 40점 이상이면서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
    실기평가 : 각 평가별 점수 60점 이상이면서, 전 평가 평균 70점 이상

  • 자격 제한사항 조회

   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2항에 따른 자격제한 조회

취득자 현황

환경교육사는 현재 2급 287명, 3급 2,293명을 양성하여 총 2,580명의 지도자를 배출하였습니다.(‘23. 12. 기준)

환경교육사 양성 현황

환경교육사 취업 분야

환경 관련 교육기관, 전시·체험시설, 유치원 및 학교 등에서 전문 강사, 해설사, 교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사회환경교육기관 지정을 받고자 하는 경우 환경교육사를 상시 고용하여야 하는 등 환경교육사에 대한 의무 고용을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.